고지도 지역설화|지명에 숨은 전설과 민담, 옛 지도로 추적하기
⑬ 고지도와 지역 설화의 연관성1. 서론: 지명과 이야기, 지도에 함께 남다고지도는 단순히 땅의 윤곽을 기록한 것이 아니라, **사람들의 기억과 이야기까지 담은 ‘역사의 지도책’**입니다. 특히 각 지역의 지명에는 설화, 전설, 민담, 사건이 녹아 있어, 고지도를 통해 과거의 서사를 추적하면 단순한 지리정보를 넘어선 인문 지리적 해석이 가능합니다. 조선 시대 고지도에는 오늘날의 지도에서는 사라진, 의미심장한 지명과 그 배경 이야기가 수록된 경우가 많습니다.2. 조선 지리지와 설화의 결합2-1. 『동국여지승람』과 고지도고지도는 『동국여지승람』, 『신증동국여지승람』 등의 지리서 내용을 시각화각 고을별 특산물, 인물, 설화, 신앙 등이 함께 기록2-2. 설화 지명과 지도 상의 위치 연결‘○○괴(槐)’: 전설의..
2025. 7. 20.
고지도 조선 관청 위치|행정 중심지와 지역 거점의 실제 배치 해석
⑧ 고지도와 함께 보는 조선시대 관청 위치1. 서론: 조선의 관청, 지도 속에 남다조선시대의 행정 체계는 매우 정교하게 설계되어 있었으며, 그 구조는 중앙-지방의 연계성을 중심으로 구성되었습니다. 이러한 관청들은 단순히 업무 공간을 넘어, 행정력과 통치의 상징이었습니다. 고지도는 이들 관청의 위치, 역할, 규모, 주변 지형 등을 시각적으로 기록함으로써, 당시의 통치 구조를 한눈에 이해할 수 있게 해줍니다.2. 조선의 행정 체계 개요행정 단위설명주요 관청중앙국왕 직속 통치기관의정부, 6조, 사헌부 등도(道)전국 8도 체계감영 설치 (도지사 역할)부·목·군·현지방 행정 단위군수, 현감 파견, 객사·아문 운영 3. 고지도에 나타난 관청 표기 방식3-1. 도별 감영 위치‘○○감영’ 혹은 ‘○○영’으로 표기예: ..
2025. 7. 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