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8 서양 고지도 속 조선|외국인이 본 한국과 동아시아, 지도에 담긴 시선과 오해 ⑤ 서양인이 그린 동양의 고지도1. 서론: 서양 고지도로 보는 동양 인식16세기부터 시작된 대항해 시대는 서양이 동양에 관심을 갖게 된 중요한 전환점이었습니다. 항해 기술과 세계 지리에 대한 호기심은 곧 지도 제작이라는 형태로 구체화되었고, 동아시아는 ‘신비의 땅’으로 그려졌습니다. 서양인이 제작한 고지도는 단순히 지리 정보를 넘어서 그들의 세계관과 동양에 대한 인식을 반영한 귀중한 자료입니다.2. 서양 고지도 제작의 역사적 배경2-1. 대항해 시대와 동양 발견마르코 폴로, 콜럼버스 이후 유럽은 아시아로 진출중국, 일본, 조선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전해 들은 간접 정보2-2. 서양 지도 제작자들의 정보 수집 경로선교사, 무역상, 외교 사절의 기록중국의 지도(예: 곤여만국전도)를 참고조선은 중국의 부속 국.. 2025. 7. 17. 고지도 풍수 해석|천문과 산세로 본 조선의 국토관과 도시 배치 원리 ⑦ 고지도 속 천문과 풍수의 상관관계1. 서론: 왜 지도에 별과 산이 함께 그려졌는가?조선시대의 지도는 단순히 지형이나 거리 정보를 기록한 것이 아니라, 자연과 인간의 조화라는 철학적 세계관을 담고 있습니다. 특히 천문과 풍수는 국토를 해석하고 활용하는 데 있어 지배층의 사고방식을 시각화한 도구로 작용했습니다. 고지도 속에는 산의 형세, 물줄기의 흐름, 별자리 방향 등 우리가 놓치기 쉬운 심오한 메시지가 숨어 있습니다.2. 풍수지리란 무엇인가요?풍수(風水)는 바람과 물을 의미하며, 자연의 기운이 흘러 인간에게 길흉화복을 안겨주는 이치를 찾는 학문입니다. 조선은 국가 차원에서 풍수를 중요시했고, 이는 궁궐, 도읍, 무덤, 군사 요충지의 배치에까지 영향을 미쳤습니다.2-1. 풍수의 기본 요소혈(穴): 기운이.. 2025. 7. 17. 고지도 군사 전략|전쟁에 활용된 조선의 지도와 방어망 분석 ⑥ 고지도에 드러난 전쟁과 군사 전략1. 서론: 고지도와 전쟁의 관계고지도는 단순히 지리적 정보를 기록한 문서가 아닙니다. 특히 전쟁과 군사 전략 측면에서 고지도는 국가의 생존을 위한 핵심 전략도구였습니다. 조선 시대 지도는 병력 배치, 방어 거점, 통신망(봉수) 등을 계획하는 데 필수적인 도구로 사용되었으며, 각종 전쟁과 외침에 대비한 국가적 대응체계가 지도에 담겨 있었습니다.2. 조선의 주요 전쟁과 지도 제작 배경2-1. 임진왜란(1592)과 지도의 군사적 활용조선 초기까지 지도는 민간보다는 관청 중심 제작임진왜란을 계기로 실전적 군사 지도 필요성 대두전국의 요새, 수군 진영, 봉수로 등이 상세하게 반영된 지도가 다수 제작됨2-2. 병자호란(1636) 이후 국경 방어 강화북방 국경 방어를 위한 요새 .. 2025. 7. 16. 고지도 해양영토|독도·이어도 표기를 통해 본 조선의 바다 인식과 해상 경계 ④ 고지도 속의 해양영토 – 독도, 이어도 등1. 서론: 고지도에 담긴 바다의 경계육지 중심의 영토 개념은 현대적 시각이며, 조선시대에는 바다 역시 ‘우리 땅’의 일부로 여겨졌습니다. 특히 어업, 외세 침입, 해상 교역 등 바다를 둘러싼 활동이 활발했던 조선 후기에는 해양영토에 대한 인식도 점차 뚜렷해졌습니다. 고지도는 그 시대 사람들이 어디까지를 ‘우리 바다’로 인식했는지를 시각적으로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입니다.2. 독도와 울릉도 표기의 역사2-1. 삼국시대~조선 초기울릉도는 ‘우산국’으로 독립된 섬나라로 존재신라 지증왕 시기 정벌 후 조선까지 우리 영토로 인식독도는 우산도(于山島) 또는 삼봉도로 불리며 기록2-2. 조선 후기 고지도 표기 사례‘팔도총도’(1861): 울릉도 옆에 우산도 별도 표기‘해좌.. 2025. 7. 16. 고지도 국경선 변화|옛 지도에 담긴 영토 분쟁과 역사적 경계 해석 ③ 고지도에 나타난 국경선 변화1. 서론: 고지도를 통해 본 영토의 시선국경선은 단순한 선이 아닙니다. 한 나라의 주권, 역사적 정통성, 민족의 정체성을 상징합니다. 과거에는 위성이나 정밀 지도 기술이 없었기에, 당시의 국경은 고지도를 통해 시각화되었습니다. 고지도는 그 시대 사람들이 생각한 ‘우리 땅’의 범위를 나타내며, 때로는 오늘날의 국경 분쟁에도 중요한 역사적 근거로 활용됩니다.2. 고지도를 통해 본 조선의 국경 인식2-1. 조선의 북방 경계: 압록강과 두만강대부분의 고지도는 압록강과 두만강을 경계로 명확히 설정백두산 정계비(1712년) 이후 ‘서위압록 동위토문’이라는 표현이 지도에 등장2-2. ‘간도’ 표기의 유무김정호의 대동여지도에서는 간도가 조선 영역 바깥처럼 표현그러나 일부 지도에서는 간도.. 2025. 7. 15. 고지도 도로망 분석|조선시대 교통로를 통해 본 옛길의 역사와 변화 ② 고지도를 통해 본 조선시대 도로망1. 서론: 고지도로 본 교통로의 가치조선시대는 행정과 군사, 상업이 국가 전반을 운영하는 중심축이었습니다. 이를 가능하게 한 핵심 요소 중 하나가 바로 전국적으로 정비된 도로망이었습니다. 당시의 교통 체계를 파악하는 데 있어 가장 유효한 자료가 바로 고지도입니다. 조선 후기의 대표적인 지도인 ‘대동여지도’를 비롯하여 다양한 지방지도에는 실제 도로의 흐름과 연결망이 매우 정밀하게 기록되어 있어, 오늘날까지도 역사적 연구 및 문화재 보존에 활용되고 있습니다.2. 조선시대 도로망의 구조와 특성조선의 도로 체계는 5대 간선도로와 지방망, 그리고 봉수로 및 역원 체계로 구성되어 있었습니다.2-1. 오도(五道): 5대 간선도로경기·강원·충청·전라·경상·함경·평안 등 주요 지역을.. 2025. 7. 15. 이전 1 2 3 4 5 6 7 ··· 17 다음